반응형
반응형
함수 프로그래머는 어려운 문제를 더 단순하고 작은 문제로 나누고, 이를 통해 코드를 단계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함수’라는 기본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함수를 통해 복잡하고 반복되는 코드를 줄일 수 있다. 함수는 C언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printf() 나 scanf()와 같은 표준 함수(standard functions)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직접 코드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나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사용자 정의 함수 선언 및 정의 방법 함수를 다루기에 앞서 프로그래밍에서 선언과 정의의 차이를 알아보자. 선언은 코드 내에 특정한 함수 또는 변수가 존재한다고 알리는 것이고,..
우리는 조건문에서 변수의 값을 비교하는 조건식을 작성했다. 이때 비교에 사용되는 연산자를 관계연산자라고 한다. 관계연산자는 조건문과 반복문에서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어떤 관계연산자가 언제 사용되는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관계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의 참과 거짓 여부만을 판단하므로 결괏값의 자료형은 항상 ‘참’ 또는 ‘거짓’인 부울린형이 된다. 관계연산자 설명(좌측값 기준) 사용 예시 사용 예시 결과 > 크다(초과) 3 > 9 false = 크거나 같다(이상) 3 >= 9 false
switch 문 switch 문은 if-else if 문을 대신하는 조건문으로 조건식의 변수 또는 계산된 값에 따라 명령문을 실행할 수 있다. switch(조건식) {case 값1: 명령문; break; case 값2: 명령문; break; ..... default: // 모든 case에 맞지 않을 때 실행 명령문; } switch 문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다 1. switch의 조건식은 정수 또는 문자 유형이어야 한다. 2. case 값은 정수 또는 문자 상수여야 한다. 3. case 값은 switch 문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4. case의 break 문은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지만, case에 break 문이 없으면 조건식과 값이 일치하는 case 뒤에 있는 모든 case가 실행된..
조건문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내의 명령문들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실행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코드의 특정 부분은 실행하지 않아야 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조건문을 통해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의 결과값이 0이 아닌 경우 코드를 실행하는 연산문이다. 프로그래밍에서 0은 거짓, 1은 참을 나타내므로 주어진 조건이 거짓이 아니라면 조건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한다. C언에서는 크게 if문과 switch문을 조건문으로 사용한다. if 문 if 문은 조건식의 결과가 0(거짓)이 아닌 경우에 주어진 명령문을 실행한다. 만약 if 문의 명령문이 여러 줄이라면 명령문들을 다음과 같이 중괄호로 묶어준다. 그리고 if 문과 함께 else 문을 사용할 수 있다. else 문에 명령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