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배열이란 배열은 자료형이 같은 변수들의 모음이다. 유사한 유형의 자료들을 사용할 때 배열을 사용하면 관리가 쉽다. 배열을 만들려면 변수를 선언하듯이 자료형과 배열의 이름을 적고 대괄호[]와 대괄호 안에 배열의 크기를 적어주면 된다. 자료형 배열명[배열의 크기]; ex) int array[5]; 예시와 같이 배열을 선언하면 다음과 같이 ‘array’라는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변수가 5개가 생성된다. 변수명[인덱스] array[0] array[1] array[2] array[3] array[4] 자료 이때 배열명과 함께 대괄호[] 안에 들어가는 숫자는 배열 내에 자료의 순서를 나타내고 ‘인덱스’라고 한다. 꼭 기억해야 할 점은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앞에서 반복문을 배울 때 카운터 변..
재귀함수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재귀함수라고 한다. 이는 반복문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일반 반복문에 비해 속도도 매우 느리고, 대부분의 재귀함수는 반복문으로도 충분히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만 알아두자. 다음은 재귀함수를 통해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예제이다. #include int factorial(int n) { if (n == 0) { return 1; } else //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인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return n * factorial(n - 1); } int main() { int n; printf("0이상의 정수 입력 : "); scanf("%d", &n); // (입력예시) 5 printf("%d! = %d", n, ..
선언한 함수를 사용하고 싶다면 함수의 이름과 필요한 인수를 적어주면 되고, 이를 호출이라고 한다. 함수는 프로그램의 어느 곳에서나(심지어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호출할 수 있다. 함수명(매개변수1, 매개변수2, ...); 예를 들어, 두 숫자를 더한 결괏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든다면, 더해야 할 두 숫자를 매개변수를 통해 전해주고 return을 사용해 두 숫자의 합을 반환해주면 된다. 그리고 이를 다음 예제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include int plus(int x, int y) //x와 y가 함수 plus의 매개변수다. { return x+y; //x와 y의 합을 반환한다. } int main() { //2, 5가 인수이고, 함수에서 7이 반환되어 출력된다. printf("2 +..
함수 프로그래머는 어려운 문제를 더 단순하고 작은 문제로 나누고, 이를 통해 코드를 단계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함수’라는 기본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함수를 통해 복잡하고 반복되는 코드를 줄일 수 있다. 함수는 C언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printf() 나 scanf()와 같은 표준 함수(standard functions)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직접 코드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로 나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사용자 정의 함수 선언 및 정의 방법 함수를 다루기에 앞서 프로그래밍에서 선언과 정의의 차이를 알아보자. 선언은 코드 내에 특정한 함수 또는 변수가 존재한다고 알리는 것이고,..
포인터란 포인터는 C언어에서 다른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특별한 변수다. 포인터에 저장되는 변수의 주솟값을 이용하면 프로그램을 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 주소(adress)와 포인터 변수를 선언하면 해당 변수에 메모리가 할당된다. 주소는 이 메모리의 저장 장소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주소를 통해 변수의 값을 다루면, 보다 융통성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가 포인터다. 포인터 선언 포인터는 그 포인터가 가리키는 변수의 자료형과 같은 자료형으로 선언해야 한다. 이때 자료형과 포인터의 이름 사이에 *을 적어준다. 이 *은 선언하는 변수가 포인터임을 나타낸다. 자료형* 포인터명; *의 위치는 자료형과 포인터의 이름 사이에만 위치하면 된다. int* ptr; in..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는 여러 연산자를 결합할 때 사용한다. 논리연산자의 결괏값 역시 참 또는 거짓인 부울린형이다. 논리연산자 이름 형태 참인 조건 && AND 연산자 a && b 둘 다 참 || OR 연산자 a || b 둘 중 하나라도 참 ! NOT 연산자 !a 거짓이면 참(참이면 거짓) 논리연산자의 모든 경우에 연산 결과를 표로 정리했으니 연산 결과가 헷갈릴 때 참고하길 바란다. 연산자 경우의 수 결괏값 AND 참 && 참 참 참 && 거짓 거짓 거짓 && 참 거짓 거짓 && 거짓 거짓 OR 참 || 참 참 참 || 거짓 참 거짓 || 참 참 거짓 || 거짓 거짓 NOT !참 거짓 !거짓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