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귀함수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재귀함수라고 한다.
이는 반복문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일반 반복문에 비해 속도도 매우 느리고,
대부분의 재귀함수는 반복문으로도 충분히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만 알아두자.
다음은 재귀함수를 통해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예제이다.
#include<stdio.h>
int factorial(int n)
{
if (n == 0)
{
return 1;
}
else
//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인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return n * factorial(n - 1);
}
int main()
{
int n;
printf("0이상의 정수 입력 : ");
scanf("%d", &n);
// (입력예시) 5
printf("%d! = %d", n, factorial(n));
// (출력예시) 5! = 120
return 0;
}
반응형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배열 (0) | 2023.06.27 |
---|---|
C언어) 함수 사용 (0) | 2023.06.24 |
C언어) 함수에 대하여 & 함수 정의 방법 (0) | 2023.06.23 |
C언어) 포인터의 이해 (0) | 2023.06.21 |
C언어) 논리 연산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