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첫 번째 줄 \n");
printf("두 번째 줄");
return 0;
}
위 코드 실행시키면 ‘\n’으로 인해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 사이에 줄 바꿈이 들어간다. ‘\n’과 같이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를 ‘이스케이프 시퀀스’라고 한다.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역슬래쉬(\)로 시작하고, 윈도우 키보드에서 역슬래쉬는 원화(\)를 찾아서 누르면 입력된다.
코드를 작성하는 글씨체에 따라서 역슬래쉬로 입력될 때도 있고, 원화로 입력될 때도 있다. 둘 중 무엇으로 입력돼도 프로그램은 정상 작동한다.
다음은 C언어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들이니 기억해두자.
이스케이프 시퀀스 | 기능 |
\' | ' (작은 따옴표) 출력 |
\" | " (큰 따옴표) 출력 |
\\ | \ (역슬래쉬) 출력 |
\n | 다음 줄로 커서 이동(enter) |
\t | 탭한 위치로 커서 이동(tap) |
\b | 백스페이스(backspace) |
\a | 경고음 |
커서 이동이라는 말이 와닿지 않는다면 다음 코드를 실행시켜 보자.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나는\n프로그래머다");
return 0;
}
<실행결과>
나는
프로그래머다
“나는”을 출력하고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한 후에 “프로그래머다”를 출력하고 있다. 이처럼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문자열의 중간에 들어가도 된다.
반응형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입력 (0) | 2022.02.12 |
---|---|
C언어) 변수명 규칙 (0) | 2022.02.12 |
C언어) 자료형-2 (0) | 2022.02.12 |
C언어) 자료형 (0) | 2022.02.12 |
C 언어) 출력 (0) | 2022.01.10 |